헤드라인▽
‘황하에서 한라까지’가 깊은 잠을 깨우고 있다
누가 한반도와 한민족을 지켜야 하는가

작성 : 2007년 04월 11일(수) 13:17 가+가-
‘황하에서 한라까지’(심백강, 참 좋은 세상 출판사, 2007.3.20 )속에서 “중국은 동북공정(東北工程)을 통해 고구려는 중국의 지방정권이고 수·당과 고구려의 전쟁은 국내의 통일전쟁이라고 강변한다.
이러한 논리를 고조선 부여 발해 등 한국고대사전반으로 확대 적용시켜 ‘한국사는 중국사’라는 억지주장을 펴고 있다”고 깜짝 놀라서 쓰러질만한 사실을 털어 놓았다.

이어서 ①아직도 청산되지 않은 식민사관 ②2000년 만에 새롭게 밝혀지는 낙랑의 역사 ③인류의 기원과 한민족탄생 ④북경원인과 우리 민족 ⑤중원의 황하문명을 앞지른 요서의 홍산문화 ⑥홍산문화와 우리 민족 ⑦동북아의 패자 고대한국 ⑧고조선의 발상지 대릉하유역 ⑨요하문명권과 그 주역 한민족 ⑩중국역사의 진정한 주인은 누구인가 라는 항목으로 나누어 우리 한민족이 지금부터 정신차리고 똑똑하게 알아야 할 이야기를 하고 있다.

중국의 동북공정

그리고 끝부분 부록에서 우리가 알고 해야 할 일을 제시하고 있다.

1. 들어가는 말
중국은 역사상에 전례가 없는 동북공정이라는 프로젝트를 국책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동북공정은 우리의 과거와 현재 미래와 직결된 문제다.
국가와 민족의 명운을 좌우할 중대한 사안이므로 그 실체를 정확히 파악하여 올바로 대처하는 일이 절실히 필요하다.

2. 중국 수정된 소수민족정책의 주요내용
①중국경내의 모든 민족은 한(漢族)과 뿌리를 같이하는 중국민족으로 간주한다.
②현재는 중국영토 안에서 일어난 역사상의 모든 소수민족국가는 독립국가가 아니라 본래 중국의 자방정권이다.
③역대 소수민족정권은 중국의 지방정권이므로 현재 그 후예들이 영토주권을 행사하고 있는 지역이라 하더라도 아시아대륙 안에 있는 모든 영토는 궁극적으로 중국영토이다.

중국이 이미 시행을 마친 서남공정·서북공정과 지금 추진하고 있는 동북공정 등은 이렇게 수정된 소수민족정책의 기저위에서 진행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3. 티베트 침공과 동북공정

중국은 1959년 티베트를 침공하고, 1986년부터 티베트역사를 중국역사에 편입시키는 서남공정이 시작되어 130여명의 연구진이 투입되어 10년간 서남공정이 진행되었다.

이와 같이 소수민족정책은 민족의 뿌리가 같다고 하는 화이동근(華夷同根)정책으로 둔갑시킨 것이다.

동북공정은 2002년 2월 ‘동북변경역사와 현상을 연구하는 공정’이라는 이름으로 출발하여 사회과학원 밑에 변강사연구중심에서 5개년계획으로 추진하고 거의 마무리 단계에 와 있다며 지피지기(知彼知己)면 백전백승(百戰百勝)한다고 중국의 동북공정을 추진하는 최종 목표가 무엇인지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동북공정의 목표

1차 목표는 화이동근이라는 구호아래 중국 동북지역의 역사 특히 한국사의 역사주권을 중국사에 편입시켜 중국역사로 바꾸는 것이다.
수백명의 학자를 동원하여 고조선, 고구려, 발해 등의 한민족사의 역사주권을 중국사에 귀속시키는 이론작업이 마무리단계에 있다고 한다.

2차 목표는 ①북한 붕괴 시 연고권을 내세워 북한영토를 중국에 귀속시킬 수 있는 유리한 고지를 한국이나 미국에 비해 선점하고 ②남북한 통일시 발생할 소지를 안고 있는 영토분쟁에 사전대비하려는 것으로 보고 있다.

3차(동북공정의 최종) 목표는 10년 후 세계무대에서 미국의 발언권이 축소되고, 중국의 영향력이 확대되어 한국의 위상이 크게 위축될 경우 남한의 영토주권을 중국에 귀속시키려는데 있다.

즉 옛날 한(漢)나라 무제가 고조선을 멸망시킨 뒤 한나라의 행정구역에 포함시켜 한사군 (漢四郡)으로 만든 것처럼 한반도를 중국의 행정구역에 귀속시켜 중국 22개 성(城)중의 하나로 만들려는 것이 동북공정의 최종목표라고 저자가 보고 있다.

중국은 동북공정의 목적에 대하여 “국가통일, 민족단결, 변강안정의 목표에서 출발한다”고 공식적으로 표명했다고 한다.

우리의 현재 대응방안

또한 저자는 동북공정에 대한 한국정부의 대응현황은 사건의 본질을 파악하지 못한 인상이 짙다며, 정확한 좌표설정이 없고 장기적인 대안도 없다고 했다.

무대책 무대응으로 일관하고 있는 사이에 중국은 동북공정·백두산공정에 이어 이어도문제까지 들고 나온다고 걱정하고 있다.

정부는 강온양면전략(强溫兩面戰略)으로 적절하게 대처해야 하는데도 중국의 눈치 보기에 급급한 나머지 제대로 된 반박성명 하나 발표하지 못했다고 꼬집었다.

그뿐만 아니라 학계는 핵심을 빗나간 대응으로 일관했다며 동북공정은 단순히 고구려사에 국한된 문제가 아닌데도 동북공정전문기구로 발족한 고구려연구재단은 그 명칭부터 한계를 들어냈다고 충고를 했다.

시민사회대응은 언론에서 떠들면 반짝하다가 마는 차원이고 체계적인 대응이 없었다며, 현재까지의 한국의 동북공정에 대한 대응은 실패한 대응이라고 결론짓고 앞으로 대응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동북공정대응 방안

학계는 동북공정의 대응논리를 개발하고, 정부는 대응정책을 추진하고, 시민사회는 대응운동을 전개하여, 삼위일체가 수립되어야 한다.

1. 학계의 대응방안

(1)고조선 공정 3개년계획
한국사를 바로 세우지 않고 동북공정의 대응은 있을 수 없다.
고조선은 한국사의 뿌리인 동시에 동아시아역사의 뿌리이다.
고조선을 바로 세우면 한국사와 동아시아역사가 바로 서게 된다.
고조선을 바로 세우면 동북공정은 저절로 무너지게 된다.
①연구팀구성: 한학자30%, 30-40대 소장역사학자30%, 건전한 재야 사학자 30%
②자료집편찬: 한·중·일 3국에 흩어져있는 한국고대사 관련 자료를 조사, 수집, 정리, 편찬한다.
③한국사 재정립과 동북공정반박논리 개발
(2)동이공정 3개년계획: 생략
(3)중원공정 5개년계획: 중국이 한반도의 영토주권을 주장할 것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①수천년 중국역사에서 동이족이 지배한 역사가 더 길다.
②한나라 당나라 명나라 등 한족이 영토를 개척한 공간보다 원나라 금나라 청나라 같은
동북방민족이 차지했던 공간이 훨씬 넓다. 즉 중국대륙에 대한 시간적지배와 공간적 지배에서 모두 동이족이 앞서는데 한족이 중국의 정통세력이라고 말할 자격이 없다.
③중원공정을 통해 중국역사의 진정한 주인은 한족이 아니라 동이족이라는 논리를 개발 하여 10년후 혹시라도 제기될지 모르는 한반도영토주권의 중국귀속주장에 대비해야 한다.

2. 정부의 대응방안
(1)학계가 새롭게 정리한 사관으로 국사교과서를 개정한다.
(2)우리 민족의 자랑스러운 역사를 강조한 자주적인 국사교육을 강화한다.
(3)학계가 개발한 동북공정반박논리를 대내외에 널리 홍보한다.
(4)자주적인 역사학자그룹을 양성한다.
(5)세계 동이민족네트워크를 구성하여 한족문화에 대응할 동이문화를 활성화시킨다.

3. 시민사회의 대응방안
(1)동북공정대책 시민협의회 결성
(2)인터넷을 통한 국내외 대응운동전개
(3)중국의 지도자들에게 항의서한 발송
(4)세계의 석학들에게 실상 공개서한 발송
(5)세계 각 나라에 있는 대학연구소와 박물관 도서관 방송사 포털사이트 등에 동북공정
반박자료 제공

‘황하에서 한라까지’의 저자는 진짜 애국자

끝으로 ‘황하에서 한라까지’ 한권의 책 속에서 저자의 노력과 박식 및 논리 정연한 주장에 감탄할 수밖에 없다. 국립대만사범대학·문화대학, 중국연변대학, 북경대학 등에서 연구하고 역사학박사학위를 받았다.
문학과 역사학 철학 등을 섭렵하고 『이야기로 배우는 동양사상』<유가편> <불가편> <도가편> (1-3권), 제3의 사상 등의 저서와 고대사 자료집10권을 편간했을 정도로 깊이와 폭이 넓다. ‘황하에서 한라까지’를 쓰는데 참고한 것은 한국문헌 39권, 중국문헌37권, 기타참고자료 4가지 등 방대(尨大)한 자료에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나는 이 한권의 책속에서 저자의 피를 말리는 애국과 애족하는 정신을 읽었다.
우리가 동북공정에 대처하는 길을 가르쳐 준 저자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2007년 4월 11일

김 만 식(평화통일시민연대 회원
시집 『박통이 최고라네』 산문집 『대통령은 아무나 하나』의 저자)
김만식 기자 www.tong1289@hanmail.net 기사 더보기
많이 본 뉴스

정치의회

자치행정

조선경제

문화예술

이슈/기획

우리동네

길따라칠백리

눈호강 입호강, 상춘객 사로잡을 거제 봄꽃 나들…

겨우 내 묵은 먼지를 털어내고 봄을 만나러 가는 길, 새해를 맞이할 때보다 설레는 기분이다. 새로운 …

  1. [구성옥의 산행일기] 장기 바위
  2. [구성옥의 산행일기] 서봉스님의 방광(放光)
  3. [구성옥의 산행일기] 조망권

일상에서

[카메라 뉴스] 후투티

‘훗 훗’ 운다고 이름 부쳐진 후투티는 순 우리말이다. 그 이전에는 뽕나무 숲에서 잘 보인다고 ‘오디새’라고…

  1. [구성옥의 산행일기] 새들의 지저귐
  2. [구성옥의 산행일기] 겨울의 향기
  3. 우포 따오기 거제 산촌습지 찾아오다

기사 목록

모닝뉴스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