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집값 급등세 원인 재개발사업 부진 공급 부족”
한국은행 부산본부, ‘부산지역 재개발사업의 현황과 정책과제’ 발표
작성 : 2011년 12월 13일(화) 21:21 가+가-
부산지역 주택가격 급등세의 주요 원인이 재개발사업 부진으로 인한 공급 부족이 라는 분석이 나왔다.
또 이런 분석에 기초해 재개발사업 활성화를 이뤄 부산지역 주택매매가격의 변동성을 줄여야 한다는 주장도 함께 개진됐다.
한국은행 부산본부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부산지역 재개발사업의 현황과 정책과제’라는 연구결과를 13일 발표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2009년 1월 이후 지난 9월까지 부산지역 주택가격 상승률은 32.7%로 전국 평균인 9.5%을 훌쩍 뛰어넘었다.
한국은행은 이는 주택 매입수요 증가와 아울러 공급부족이 주요 원인이며, 공급부족은 재개발사업 위축이 주요 원인이라고 보았다. 재개발구역수는 지난 2001년 80개에 불과했던 것이 2004년 지정요건이 완화되면서 크게 늘어나 올해 6월 말 현재 153개에 이르고 있다.
이에 비해 사업완료율은 지난 2001년부터 지난해까지 구역수 기준으로 6.4%, 공급세대수 기준으로 2.9%라는 저조한 수치에 머물고 있다.
재개발 구역수만 계속 늘어났을 뿐, 실제 사업이 진행된 곳은 아주 부분적이라는 얘기다.
재개발사업이 원활히 추진됐다면 부산지역 주택가격 상승률이 훨씬 낮아졌을 것이라는 한국은행의 분석이 자연스럽게 설득력을 갖는 대목이다.
한국은행은 부산지역의 주택수급 안정과 재개발사업의 효과적 추진을 위한 정책과제로 중장기 주택수급 전망에 기초한 재개발계획 수립, 지역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개발모델 도입, 원가산정의 적정성 및 사업추진과정의 투명성 확보, 공공부문의 역할 증대 등을 제시했다.
또 뛰어난 해안경관을 갖춘 곳은 관광자원의 개발과 재개발사업을 연계해 투자가치를 높이는 한편, 사업진행이 부진한 지역은 대규모 지역개발사업과 연계성을 높이는 방안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용성 기자 기사 더보기
또 이런 분석에 기초해 재개발사업 활성화를 이뤄 부산지역 주택매매가격의 변동성을 줄여야 한다는 주장도 함께 개진됐다.
한국은행 부산본부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부산지역 재개발사업의 현황과 정책과제’라는 연구결과를 13일 발표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2009년 1월 이후 지난 9월까지 부산지역 주택가격 상승률은 32.7%로 전국 평균인 9.5%을 훌쩍 뛰어넘었다.
한국은행은 이는 주택 매입수요 증가와 아울러 공급부족이 주요 원인이며, 공급부족은 재개발사업 위축이 주요 원인이라고 보았다. 재개발구역수는 지난 2001년 80개에 불과했던 것이 2004년 지정요건이 완화되면서 크게 늘어나 올해 6월 말 현재 153개에 이르고 있다.
이에 비해 사업완료율은 지난 2001년부터 지난해까지 구역수 기준으로 6.4%, 공급세대수 기준으로 2.9%라는 저조한 수치에 머물고 있다.
재개발 구역수만 계속 늘어났을 뿐, 실제 사업이 진행된 곳은 아주 부분적이라는 얘기다.
재개발사업이 원활히 추진됐다면 부산지역 주택가격 상승률이 훨씬 낮아졌을 것이라는 한국은행의 분석이 자연스럽게 설득력을 갖는 대목이다.
한국은행은 부산지역의 주택수급 안정과 재개발사업의 효과적 추진을 위한 정책과제로 중장기 주택수급 전망에 기초한 재개발계획 수립, 지역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개발모델 도입, 원가산정의 적정성 및 사업추진과정의 투명성 확보, 공공부문의 역할 증대 등을 제시했다.
또 뛰어난 해안경관을 갖춘 곳은 관광자원의 개발과 재개발사업을 연계해 투자가치를 높이는 한편, 사업진행이 부진한 지역은 대규모 지역개발사업과 연계성을 높이는 방안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hagija77@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