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드라인▽
해양실크로드 관문, 광저우에서 한중 학자 열띤 토론
'해양실크로드와 해항도시'라는 주제로 학술대회 개최
작성 : 2014년 09월 23일(화) 15:34 가+가-

학술대회 참석자들

경상북도는 지난 22일 해양실크로드의 관문인 중국 광저우에서 21세기 신해양 시대 해양도시간 네트워크 구축과 해양을 통한 문화융성 방안을 모색 등 해양실크로드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경상북도와 해양수산부, 한국해양대학교가 공동으로 진행 중인 ‘2014 해양실크로드 글로벌 대장정’ 사업의 일환으로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주관하고 한국연구재단, 중산대학교, 광저우한국총영사관 후원으로 ‘해양실크로드와 해항도시’ 라는 주제를 가지고 한․중 해양실크로드 석학 11명이 한자리에 모여 해양실크로드와 해항도시의 역사, 문물, 한중교류에 관한 심도 있는 발표와 토론이 있었다.

이번 학술대회의 내용을 살펴보면 먼저, 첫 번째 기조 강연은 중국의 해양사 연구의 비조(鼻祖)로 잘 알려진 양구어전(楊國楨) 하문(厦門)대학 교수가 ‘해양실크로드와 해양문화연구’ 라는 주제로 인류의 해양 발전과정을 구역(區域) 해양시대, 글로벌 해양시대, 입체적 해양시대 등으로 구분하면서 실크로드를 통해 해양 아시아의 과거를 돌아보고 오늘날의 해양실크로드를 발전에 대한 각국의 노력은 일종의 문화적 선택이라고 밝혔다.

두 번째 기조강연에서 한국문명교류연구소 정수일 소장은 ‘해상실크로드의 개념검토’ 라는 주제로 실크로드 연구에서 출발점이며, 기조(基調)가 되는 주요한 몇 가지 개념문제에 관한 3국 학계의 상이한 인식을 비교분석하면서 그 학문적 정론을 모색하고 나아가 문명은 전파성이란 근본속성에 의해 교류되는데, 그 과정은 일방주의적인 주입이나 강요가 아니라, 서로의 필요에 따르는 수평적 선택으로 실현되고, 해상실크로드 상에서 진행된 교류가 바로 이를 증명해주는 것임을 강조했다.

열린 주제발표에서는 ‘해양실크로드와 해항도시’ 라는 주제로 첫 번째 세션에는 중국 로동대학 류펑밍(劉鳳鳴) 교수가 ‘산동반도와 동방 해상실크로드’, 동국대학 윤명철 교수는 ‘신라인의 해항도시들과 해양 실크로드 상의 역할론’, 중산대학의 위엔딩(袁丁) 교수는‘해양실크로드와 광저우’에 대해 각각 발표했다.

두 번쩨 세션에서는 ‘해양실크로드와 문물’ 이라는 세션에서는 심수만보(深圳晚報)의 양얼핑(梁二平) 편집장이 ‘해양실크로드와 해도’, 집미(集美)대학의 최운봉 교수는 ‘해상실크로드와 선박’, 광동성 사회과학원 리칭신(李慶新) 역사연구소장은‘해양실크로드 상의 남해1호’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세 번째 세션에서는 ‘해양실크로드와 한‧중교류’ 라는 주제로 산둥대학 천상승(陳尙勝) 교수가 ‘장보고와 황해실크로드’, 한국해양대학교의 김강식 교수는 ‘여송의 해상교역로와 활용’, 중산대학의 웨이즈지앙(魏志江) 교수는 ‘고려시대 한중해상실크로드와 해양문화교류’ 등 각 분야의 한․중 전문가들의 주제발표가 있었다.

탐험대 첫 입항지 이자 해양실크로드 관문인 중국 광저우에서 개최된 이번 학술대회는 2014 해양실크로드 글로벌 대장정의 역사재조명 사업으로서 해양실크로드 역사·문화에 대한 활발한 연구와 그 학문적 기반을 마련하고, 나아가 한중 양국의 우호관계 구축의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남일 도 문화관광체육국장은 “이번 한술대회가 해양실크로드와 해항도시의 새로운 의미를 되새기고, 21세기 신해양시대의 가치와 비전을 제시하는 등 글로벌 新실크로드를 여는 큰 꿈을 실현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고 밝혔다.
서혜정 기자 기사 더보기

shjung51@naver.com

많이 본 뉴스

정치의회

자치행정

조선경제

문화예술

이슈/기획

우리동네

길따라칠백리

눈호강 입호강, 상춘객 사로잡을 거제 봄꽃 나들…

겨우 내 묵은 먼지를 털어내고 봄을 만나러 가는 길, 새해를 맞이할 때보다 설레는 기분이다. 새로운 …

  1. [구성옥의 산행일기] 장기 바위
  2. [구성옥의 산행일기] 서봉스님의 방광(放光)
  3. [구성옥의 산행일기] 조망권

일상에서

[구성옥의 산행일기] 새들의 지저귐

지난 9일, 혼돈산을 올랐다. 요즘 자연과 연애하는 기분이다. 자연에서 겸손을 배우고, 신선한 공기를 …

  1. [구성옥의 산행일기] 겨울의 향기
  2. 우포 따오기 거제 산촌습지 찾아오다
  3. 거제시의회, 미취학 어린이 청사견학 인기

기사 목록

모닝뉴스 PC버전
검색 입력폼